블로그 이미지
하늘나라는 밭에 묻혀 있는 보물에 비길 수 있다. 그 보물을 찾아낸 사람은 그것을 다시 묻어두고 기뻐하며 돌아가서 있는 것을 다 팔아 그 밭을 산다
Bokto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1,024total
  • 1today
  • 4yesterday
2012. 10. 30. 12:37 신약성경

  신약성서로는 테살로니카전서와 함께 가장 먼저 쓰여졌을 뿐 아니라 예수님 재림에 대한 바오로의 가르침을 많이 담고 있어 초창기 교회의 신앙과 희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성서이다.

 

누가 썼는가?
   
정확히 알 수 없다. 성서에는 사도 바오로가 직접 쓴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3,17) 초대교회로부터 오랫동안 바오로가 썼다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테살로니카전서와 비교해 볼 때 문체와 종말에 대한 생각이 일부 다르다고 하여 바오로의 제자가 후대에 썼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언제 쓰여졌는가?
   바오로는 제2차 전도여행 중(50-52년경) 고린토에 머무르면서(사도 18,11) 테살로니카 교인들에게 첫 번째 편지를 쓴 후(50-51년경), 그 해나, 그 다음 해에(52년경) 두 번째 편지를 보낸다. 그러나 후대에 바오로의 제자가 썼다면 약 1세기 말경으로 생각할 수 있다.

 

 왜 쓰여졌는가?
   1세기 교회에는 세상의 종말이 임박했다고 믿는 분위기가 컸었다. 테살로니카 교회에도 박해와 괴로움을 당하는 가운데(1,4) 주님의 날이 이미 왔다고 생각하고 그릇된 가르침에 이끌려(2,2) 아무 의미 없이 살아 가는 이들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지내면서 공동체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들도 있었다(3,11). 바오로는 이런 테살로니카 교인들의 생각과 생활 자세가 잘못된 것임을 일깨우고 바로 잡아주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이 편지를 썼다. 주님의 재림 전에는 배교하는 사태와 불법의 사람이 나타난다는 몇 가지 징조를 이야기하면서, 지금은 아직 그 때가 되지 않았으니 흔들리지 말고 주님 안에 굳건히 서서 하느님의 부르심에 합당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라고 한다. 또한 무질서하게 지내며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살아가는 게으른 생활을 엄하게 꾸짖음으로써 현세의 생활에 열심히 일하며 충실하게 살 것을 깨우치고자 했다. 지금 받는 박해와 고난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과정이기에 굳건히 견뎌내라고 하면서 혼란 속에 빠져 있는 테살로니카 교인들을 격려하고자 했다.

 

 어떤 이야기가 쓰여 있는가?
   테살로니카 후서는 짧아서 3장밖에 안된다. 예수님 재림 전에 지녀야 할 자세, 무질서하고 게으른 생활을 바로잡도록 일깨우는 권고 등이 담겨 있답니다. 내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금 고난 당하는 사람은(1,1-12)
   갖가지 박해와 괴로움을 당하면서도 인내와 신앙을 간직하며 생활하는 테살로니카 교인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있다. 지금 고통을 겪는 사람들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에 합당한 사람이 될 것이며, 하느님께서 안식으로 갚아 주신다고 하면서 용기를 북돋워 주고 있다. 교인들이 온갖 선의와 신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느님께 기도드리고 있다.

     주님 안에 굳건히 서서(2,1-3,5)
   주님의 날이 이미 온 것처럼 생각하고 흔들리며 당황해 하는 교인들에게 주님이 오시기 전에는 배교와 불법의 사람이 등장한다고 하면서 주님의 날은 아직 오지 않았음을 깨우쳐 주고 있다. 주님이 나타나시면 진리를 믿지 않고 불의를 좋아한 모든 이들을 심판하시고 그 불법의 사람을 멸하신다고 하면서, 하느님 안에 굳건히 서서 신앙을 간직하라고 한다. 교인들이 하느님의 사랑과 그리스도의 인내에 다다르도록 인도해 주시기를 하느님께 청하고 있다.

     선함과 근면으로(3,6-18)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무질서하게 생활하는 사람들의 잘못된 자세를 깨우쳐 주고 있다. 아무에게도 짐이 되지 않고자 수고와 고생을 하며 밤낮으로 일했던 사도의 생활을 상기시키면서 스스로 일해서 빌어먹을 것과 계속해서 선한 일을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아울러 사도의 말을 따르지 않는 이들을 형제처럼 타이르라고 권유하면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평화를 기원하며 편지를 끝 맺고 있다.
 

posted by Bokto

댓글을 달아 주세요

2012. 10. 30. 12:36 신약성경

  사도 바오로의 편지 중에서 가장 먼저 쓰여졌을 뿐 아니라 신약성서 중에서 제일 먼저 쓰여진 성서여서 초창기 교회의 신앙과 고민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성서이다.

 

 누가 썼는가?
   사도 바오로가 직접 썼다. 테살로니카 교인들에 대한 바오로의 애정과 사랑이 듬뿍 담겨 있다.

 언제 쓰여졌는가?

   바오로는 제2차 전도여행 중(50-52년경) 코린토에 머무르면서(사도 18,11) 이 편지를 썼다. 50-51년경에 쓴 것으로 보인다.

 왜 쓰여졌는가?
   바오로는 필리피에 교회를 세우고 추방당한(사도 16,11-40) 뒤 테살로니카로 가서 복음을 선포했지만, 유대인들의 방해로 또 쫓겨난다(사도 17,1-10). 바오로는 테살로니카 교인들이 환난 중에 흔들리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어 직접 가보고 싶었지만 그럴 수가 없었기에(2,18) 디모테오를 보냈다(3,1-5). 그후 바오로는 데모테오로부터 테살로니카 교인들이 시련을 잘 견디고 굳건히 서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너무 기뻐 그들에 대한 감사와 사랑, 격려와 희망을 전하고자 이 편지를 썼다. 또 무엇보다도 당시에는 예수님께서 곧 재림하실 것이라는 믿음이 아주 컸었는데, 재림을 맞기 전에 신자들이 죽는 일이 생기자 테살로니카 교인들은 그들의 구원 여부를 걱정하며 신앙에 혼란이 생겼다. 그래서 바오로는 예수님께서 내려오시면 죽은 이들이 먼저 부활하고, 그 다음에 살아 있는 이들도 주님 앞에 나아갈 것임을 일러줌으로써 테살로니카 교인들을 격려하고 위로했다. 결국 테살로니카 전서는 종말에 닥칠 일을 일러주기보다 종말을 넘어선 희망과 믿음을 가질 것을 강조하고 있다. 

 

  ◇ 테살로니카 전서는 모두 5장이다. 테살로니카 교인들에 대한 감사와 사랑, 믿는 이로써 지녀야 할 자세 등이 담겨 있다. 내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바오로와 테살로니카 교회(1,1-3,13)
   바오로는 새로 탄생한 테살로니카 교회가 모든 곤경과 환난 속에서도 주님 안에 굳건히 서 있다는(3,8) 소식을 듣고 기쁨과 감사의 기도를 전한다. 바오로가 테살로니카에서 하느님의 복음을 전했을 때의 활동과 그들에 대한 사랑(2,8), 또 그 복음을 기쁨으로 받아들인 테살로니카 교인들의 신앙(1,6.9-10) 등을 이야기한다. 앞으로도 계속 주님 안에서 믿음의 부족함을 채우고 서로 베풀고 사랑을 나누는 생활을 할 것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 주님과 더불어(4,1-5,11)
   어떻게 사는 것이 하느님을 기쁘게 해 드리는 것인지 생각하면서 주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의 뜻에 맞게 생활하라고 한다. 또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은 우리에게 내려오시어 죽은 이들을 부활시키고 살아있는 이들도 언제나 주님과 함께 있게 될 것이니 슬퍼하지 말고 서로 위로하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믿음과 사랑의 갑옷을 입고 구원에 대한 희망을 투구로 쓰고(5,8) 늘 깨어 있어야 한다고 이른다.

  ◇ 기뻐하고 기도하며 감사하시오(5,12-28)
   믿는 이로서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하여 권고하고 있다. 주님 안에서 서로 화목하게 지내고 약한 이들을 돌보아 주며 모든 이에게 선을 행해야 한다고 이른다. 또한 하느님이 원하시는 대로 항상 기뻐하고 끊임없이 기도하며, 모든 일에 감사하라고 한다. 테살로니카 교인들에게 주님의 은총이 함께 하기를 빌면서 편지를 끝 맺고 있다. 

posted by Bokto

댓글을 달아 주세요

2012. 10. 30. 12:30 구약성경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 "제2경전"이라 부르는 책들, 성공회는 이 책들에다 몇 권의 책을 더 첨가해서 성서에 수록하고 있지만 경전으로 여기지는 않는다. 개신교는 이 책들을 외경(外經)이라고 불러 경전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토빗기
하느님께 버림받은 것같이 보일 때에도 믿음을 잃어서는 안됨을 강조하는 종교적인 이야기.
구원에 있어서의 이스라엘의 역할
14장으로 구성
- 불운에 처한 토빗 일가와 사라 일가(1,1-3,17)
- 메데로 여행하다 사라와 결혼하는 토빗(4,1-9,6)
- 시력을 되찾는 토빗(10,1-13,18)
- 토빗의 유언(14,1-15)

유딧기
구원에 있어서 이스라엘의 역할과 인류 역사의 운명을 가르치는 이야기
16장으로 구성
- 물줄기가 끊긴 이스라엘 백성이 체험한 갈등(1,1-7,32)
- 주님께서는 내 손을 통하여 이스라엘을 구원하실 것이다. (8,1-13,20)
- 당신을 경외하는 사람들에게 자비를 베푸시다니 (14,1-16,25)

지혜서
하느님의 지혜를 찬양
의(義)의 옹호자로서 지혜를 인격화한다.
우상숭배에 대한 단죄
19장으로 구성
- 의인과 악인(1,1-5,23)
- 지혜를 찾으려면(6,1-9,18)
- 역사 안에 드러난 지혜(10.1-19,22)

집회서(시라의 지혜서)
시라의 아들 예수님의 지혜라고도 한다.
신성한 도덕율과 윤리적 책임, 하느님의 징벌 원칙을 주장한다.
51장으로 구성
- 네발을 지혜의 족쇄로 채워라(1,1-16,23)
- 어리석은 자를 위해서 눈물을 흘려라 (6,24-23,28)
- 건장한 몸은 많은 재산보다 낫다.(24,1-32,13)
- 악인들의 재물은 용납하지 않는다 (32,14-42,14)
- 지혜를 주신 분께 영광을(42,15-51,30)

바룩서
실의에 빠진 유다인들에게 그들의 비탄 및 재건 확신의 이유를 말해주려고 유배 역사를 다시 들려준다.
6장으로 구성
- 포로된 자들의 참회기도(1,1-3,8)
- 야곱아 돌아서서 지혜를 잡아라(3,9-4,4)
- 용기를 내어라 예루살렘아(4,5-5,9)
- 우리가 경배할 분은 당신뿐(6,1-72)

마카베오기 상권
이스라엘의 예배와 율법을 충실히 지키기 위한 유다인들의 투쟁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기.
16장으로 구성
- 마카베오 전쟁의 시작(1,1-2,70)
- 유다 마카베오의 항쟁(3,1-9,22)
- 요나단의 항쟁(9,23-12,53)
- 시몬의 항쟁(13,1-16,24)

마카베오기 하권
유다인들의 승리와 독립을 다룬 마카베오기 상권과 같은 투쟁 이야기.
dot1_sky1.gif 가르침과 교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15장으로 구성
- 이집트에 사는 유다인들에게 보내는 편지와 서문(1,1-2,32)
- 종교박해와 순교자들(3,1-7,42)
- 유다의 승리와 예루살렘 성전의 정화(8,1-10,9)
- 다시 시작되는 박해와 부활에 대한 신앙(10,10-15,39)



'구약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문서 (13권)  (0) 2012.10.30
예언서 (21권)  (0) 2012.10.30
신명기  (0) 2012.10.30
민수기  (0) 2012.10.30
레위기  (0) 2012.10.30
posted by Bokto

댓글을 달아 주세요